< 카운터포이즈 >는 우리 바깥에 존재하는 소음과 내적 고요를 함께 조명하며, 매일 우리를 짓누르는 고요한 고독의 힘과 인간으로서 분출하는 감정 사이 균형을 잡는 모습을 원초적이면서도 인정 어린 시선으로 보여주는 시의적절한 작품이다.< 카운터포이즈 >는 질문을 던진다.
보편적인 문화란 무엇일까? 우리는 서로를 갈라놓는 경계선에 굴하지 않고 상당히 유사한 경험을 쌓을 수 있는 티핑 포인트에 가까워지고 있는 것일까?
감독 매트 번(Matt Byrne)
● 수상 경력에 빛나는 감독, 촬영 감독, 편집자, 프로듀서로 활동하며 영화, 텔레비전 및 상업 콘텐츠 제작 경험을 보유.
● 주요 클라이언트와 협업하며, 2012년 애들레이드 Adelaide Oval에서 이벤트 관리 및 TV 제작 디자인을 감독.
● 다양한 플랫폼에서 콘텐츠를 제작하며, 스토리텔링을 통한 관객과의 연결을 중요시.
안무 라리사 맥고완(Larissa McGowan)
● 2000년부터 Australia Dance Theatre (ADT)에서 활동하며 세계 여러 나라를 투어, 다양한 작품에서 공연과 안무를 맡았고, 2008년에는 연합 안무가로 임명됨.
● 2003년 그린 룸 어워드 여성 댄서상을 수상하고, 2004년 헬프맨 어워드와 호주 댄스 어워드에서 여러 차례 수상.
● 주요 안무 작품으로는 2016년 애들레이드 페스티벌에서 초연한 Mortal Condition, 2022년 오즈아시아 페스티벌에서 안무한 Action Star와 2023년 Hans + Gret 등이 있으며, 2024년 영화 How to Make Gravy에서 안무를 맡음
웨이브 오브 그레이락
4/20(일) 14:30 아트나인 9관
드라마│ 22min│2025
감독
곽민영
안무
김서안
출연
권아름, 김서안, 안민영, 이채경, 정윤하, 김은경 외
도아는 오랜 시간 '그레이 락' 상태로 살아왔다. 상처받지 않기 위해 무감각한 돌처럼 버텨왔지만, 마침내 자신을 둘러싼 감정의 틀을 깨고 움직이기로 결심한다. 돌처럼 굳어 있던 존재가 빛을 만나면, 그 안에서 수많은 색이 펼쳐진다. 도아의 여정은 단순한 치유가 아닌, 감정의 색을 되찾는 과정이다. 스스로를 받아들이고 앞으로 나아갈 때, 마침내 '웨이브 오브 그레이 락'이 움직이기 시작한다.
감독 곽민영
● 프리즘 오브 그레이 락(2025) 등
●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화 연출 전공
●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 과정 수료, 영화 연구와 창작 병행
안무 김서안
● Earthling 무용안무 외 다수
● Dance Ensemble Singapore 객원무용수 출연 및 국내 무앙무앙, 춤신프로젝트, 심포니 in 출연 외 다수
CHIMERA
4/20(일) 14:30 아트나인 0관
스크린댄스│ 8min│2025
감독
김민수
안무
변가빈
출연
총명주, 고다영
공연예술에서 매체 기술은 마치 태초에 이브를 유혹했던 뱀과 같다.
무대 위 얇은 막 속으로 존재가 웅크리고 있다. 뱀의 몸에 머리는 카메라인 '키메라(CHIMERA)'가 무대 아래서 기어 올라온다. 키메라의 눈인 렌즈에서 녹화의 붉은 불빛이 들어오고 존재를 깨운다.
카메라가 행하는 예술을 파괴하면서 아름답게 드러내주는 양면성의 이야기.
감독 김민수
● < First Move > Indie Short Fest, Best Screendance, < 아이, Dear >부산국제단편영화제, < CHIMERA > 서울무용영화제 선정 등 다수 영화제 참여
● 'KKUM' 설립, 광고와 뮤직비디오로 무용 예술의 확장을 시도
안무 변가빈
● 숙명여대 현대무용 졸업
● 무용을 영화로 확장하고자 작업 지속
● < 합 > 연출 및 각본(서울프라이드영화제), < First Move >(Indie Short Fest, Best Screendance) , < CHIMERA >(서울무용영화제) 안무 등 다수 영화제 참여
Glen Flow
4/20(일) 14:30 아트나인 9관
댄스필름│ 27min│2024
감독 및 안무
김효경
촬영 및 편집
권재헌
출연
김효경, 이신우, 이현석, 주영상
‘술’을 소재로 한 ‘즉흥'은 자연스러운 상태를 발현시키고 현실을 대변할 수 있는 솔직한 모습으로 드러난다.
외롭고 불안했던 과거, 혼란 속에 있는 현재 그리고 예상할 수 없는 미래는 무용수들의 움직임을 통해 보여진다.
그리고 그 상태들은 아름(나)다웠다.
감독 및 안무 김효경
● 현대무용가. 무용, 연극, 서커스에서 활동하며 시각디자인과 촬영작업을 이어오고 있음
● 댄스필름에 움직임을 입체적으로 담아내기 위해 다양한 예술을 직접 경험하고 관객이 흥미롭게 볼 수 있는 개인만의 장르 구축
● 2024 제12회 인천국제현대무용제 국내초청작 ‘작품 만족도 평가’ 안무
● 2024 인천문화재단 청년예술인창작지원 무용분야 선정 작 ‘Glen Flow’ 안무
● 2024 연희예술극장 제8회 모자이크 페스티벌 : 무제 작 효플래닛 ‘Fantasy’ 안무
양치기 할망구
4/20(일) 14:30 아트나인 9관
드라마│ 17min│2025
감독
류소정
안무
박희준
출연
윤태희, 최광준, 김윤정, 정민석
한적한 시골 마을에 단둘이 사는 노부부 순희와 동구. 순희는 동구에게 자꾸만 짓궂은 장난을 치고 동구는 순희의 장난이 짜증 나고 귀찮다.
감독 류소정
● 대학에서 영화연출 전공
● 단편영화 8편의 각본을 집필하고 연출
안무 박희준
● 단편영화 < 양치기 할망구 > 안무 감독
● 댄스필름 < KARMA > 출연
미완성 몸
4/20(일) 14:30 아트나인 0관
실험 다큐멘터리│ 21min│2024
감독
박진영
출연
예효승, 안애순, 김보람, 엘리 타스(Elie Tass)
현재와 미래의 경계선에서 그 몸의 변형과 노화의 경계선에 서 있는 한명(예효승)의 무용수의 시선을 담은 다큐 형식의 영상으로 제작한 작품이다.
이 작업은 모든 무용수에게 일어나는 현상으로 과거의 자기 모습과 현재의 자기 모습 그리고 다가오고 있는 미래 몸의 모습을 그려내면서 괴리감을 벗어나기 위해 자기 몸을 받아들이는 작업으로 그에게도 받아들이는 시간을 주는 동시에 다른 무용수들에게도 몸에 변화를 받아들이는 준비하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보내는 제작 영상이다.
감독 박진영
● < Vestiges Of Disappear > IMAJITARI 국제 댄스 영화제(ID)에서 1등상 수상
● 제18회 청주국제단편영화제 실험영화 부문 < 그렇게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 > 선정 및 상영
● < 미완성몸 >(2024), < 에필로그 >(2024) 제작 및 연출
사회의 틀에 맞지 않는 몸은 낯선 몸으로 취급되고 거부된다. 하지만 배제되고 소외된 몸만이 낯선 몸이라고 불릴 수 있을까? 베를린 대도시의 일상적인 장소에 등장한 클론들은 배제, 권력, 편견의 문제를 협상한다. 10개의 에피소드는 점점 더 소외되는 사회 속에서 발생하는 낯선 만남과 그룹 역학을 민감하게 풀어낸다. 누구나 어디에서나 낯선 몸이 될 수 있다.
감독 및 안무 백호울
● 댄스필름 “Foreign body” 제작, 연출 및 안무
● VR필름 “BETWEEN_ in VR” 제작, 연출 및 안무
● Best Film 수상 (Minimalen Short Film Festival - Multiplie Dance Film, 노르웨이)
물러설 곳 없는 사람(a.k.a. 굴러 온 돌)
4/20(일) 14:30 아트나인 0관
스크린댄스 뮤직비디오│ 5min│2024
감독
성승정
안무
성승정
출연
김지원, 박상우, 박자인, 성승정, 이수연, 정재훈, 정희라, 허유미
단단하게 쌓여있는 돌무덤. 어느 날 돌이 하나 굴러온다. 이 돌은 무겁지도 빠르지도 않았지만, 무덤을 쳐서 흩어놓기에 알맞았다. 딱! 하고 흩어진 돌들을 가만히 살펴보니 그 안쪽 면에는 보이지 않던 색들이 보인다. 어떤 돌에는 납작 눌렸던 자존심이, 어떤 돌에는 비틀린 몸짓이, 또 어떤 돌에는 이끼 낀 사랑 이야기가. 비가 오니 그제서야 아무것도 흐르지 않던 곳까지 흠뻑 젖는다. 그리고 떠날 채비를 한다, 새로이.
감독 성승정
● 2024 서울세계무용축제 SIDance 기획/초청작 <일렁일렁> 안무
● 2023 제7회 서울무용영화제 심사위원 특별상 <초급 댄스어 특강> 안무/감독
● 2021 Screen Dance International ‘the Best of Documentary’ 수상작 <춤이 된 카메라, 롤 앤 액션> 안무/감독
Failure
4/20(일) 14:30 아트나인 9관
스크린댄스│ 8min│2025
감독
송주원
안무
송주원
출연
고시아, 김세연, 박미주
이것은 실패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세 개의 다른 플롯을 통해, 실패 속에서도 분투하고 나아가는 모습을 대비감 있게 담아냈습니다.
귀가 들리지 않는 이가 마주하는 냉혹한 현실, 무대를 꿈꾸는 이가 품은 희망적인 이상 – 이 두 세계의 서로 다른 언어를 차용해 표현했습니다.
실패는 하나의 과정일 뿐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아가는 것, 그것이 실패의 본질 아닐까요?
감독 및 안무 송주원
● 싱어송라이터 “하웅” M/V 조연출
● CCM 전문 채널 SMB(쉘터뮤직박스) 콘텐츠 기획&제작
● 제 53회 전국신인무용경연대회 현대무용 부문 금상
● 2022 ADER EROR x BIRKENSTOCK 패션필름 조안무
우화: Dawn of Mara는 불교에서 욕망의 세계를 지배하는 마신으로 알려진 마라 파피야스의 전설과 동아시아 문화에 널리 퍼진 운명의 붉은 실 이야기를 소재로 한 댄스필름이다.
감독 안보민 김미나
● 뉴욕과 브루클린에서 인디 아티스트 영상과 비주얼 작업을 주요로 하는 디렉터 듀오
● Philips auction house 전시 참여
● 아티스트 Nathanie Ngu 앨범 아트, 뮤직비디오 촬영, 크리에이티브 디렉션 진행
안무 김소연
● 공연 - NYFW, New York Apollo Theatre (뉴욕 아폴로극장), San Francisco Hiphop Festival, New Victory Theatre 공연
● 안무/무브먼트 감독 - 뉴욕패션위크 (NYFW) 안무&공연, 뉴욕 아폴로극장 솔로안무&공연, Pink Sweats 뮤직비디오 안무감독&댄서참여
소영의 노력 (CONATUS)
4/20(일) 12:30 아트나인 9관
다큐멘터리│ 80min│2024
감독
오재형
안무
정희정
출연
김소영, 정희정
소영은 밤마다 무대를 떠올린다. 소영은 장애를 가지고 있다. 소영은 ‘일반인’의 몸을 상상하며 춤을 춘다. 소영은 칭찬을 경계한다. 희정은 소영의 무용 선생님이다. 희정은 동작을 잘 기억하라고 말한다. 희정은 하고 싶은 대로 하라고 말한다. 소영과 희정은 공연을 올린다. 다음 날 소영의 일상은 돌아온다. 소영은 자신을 기록하기 시작한다. 소영은 흐르는 물과 계절을 지나 목적지로 향한다.
감독 오재형
● < 양림동 소녀 >(2022), < 피아노 프리즘 >(2021), < 보이지 않는 도시들 >(2021)
● < 모스크바 닭도리탕 >(2019), < 봄날 >(2018), < 블라인드 필름 >(2016), < 덩어리 >(2016)
● < 강정 오이군 >(2015), < 쇼팽 이미지 에튀드 >(2008)
안무 정희정
● 창원대학교 학술연구 교수, 모모댄스프로젝트 대표
● 장애·무용 교육 연구논문 29편 게재
● < 아모르 파티 > 안무, 8회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 < 코나투스 > 안무
● 뮤지컬 < 브로드웨이 42번가 >, < 록키호러픽쳐쇼 >, < 팔만대장경 > 출연
러브레터
4/20(일) 14:30 아트나인 9관
댄스필름│ 10min│2023
감독
오지현
안무
박현지
출연
이서윤, 박현지
사랑은 우리를 '움직이는' 힘이 된다.
감독 오지현
● 단편영화 < 뜨끈한 뜨개질 >, < 치통보다 낯선 > 각본, 연출
● 쇼트 쇼츠 국제단편영화제,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서울국제여성영화제 등 국내외 영화제 수상 및 상영
안무 박현지
● Soo d Art & Co - < 리듬의 측 > 출연
● 제30회 신인데뷔전 < 쟤 스쳐 > 안무 및 출연
● Umbria factory festival < BERMUDAS_Seoul_Sunrise > 출연
CANNED
4/20(일) 14:30 아트나인 9관
댄스필름 뮤직비디오│ 5min│2024
감독
이린
안무
박시원
출연
정민석, 장신희
소년은 미궁 속을 헤매다 미노타우로스를 만난다. 둘은 테크노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기 시작한다.
감독 이린
● 댄스필름 < CANNED >(2024) 연출
● 단편영화 < Eskimo Kiss >(2023) 연출
● 2020-2021 발레 교양 입문 시리즈 ‘더 발레 클래스’ 일러스트